
과민성대장증후군 환자는 대부분 갑자기 설사를 만나는 등 고생을 하지만 어쩔 수 없는 병으로 여기고 증세를 개선시키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지 않는다. 그러나 식습관만 바꿔도 충분히 증상을 완화하고 ‘비상상황’을 예방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영국 캠브리지대학교 애든브룩스 병원 연구진은 과민성대장증후군 환자 500명을 대상으로 식습관을 개선시킨 후 그 효과를 관찰했더니 환자 75%의 증세가 누그러뜨려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 65%는 효과가 매우 컸다. 절반 가까운 환자는 증상이 크게 완화됐으며 ‘비상상황’을 예방할 수 있었다.
과민성대장증후군 환자는 복부 통증 또는 팽만감을 느끼며 설사나 변비를 한다. 이 병이 특히 고통스러운 이유는 출근 쇼핑 모임 등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발생한다는 점이다. 이처럼 일상생활에까지 불편을 초래하는 과민성대장증후군은 심하면 수치심도 유발할 수 있다. 보통 첫 증상은 청소년기나 20대 초반에 나타난다.
영국 국립보건의료연구소는 최소 6달 동안 △복부 통증이나 불편 △복부팽만감 △배변습관의 변화가 지속된다면 과민성대장증후군을 의심해 볼 수 있다고 발표했다. 과민성대장증후군 복부 통증은 주로 배꼽 아래 부분에 생기며 간혹 배 전체가 아플 수도 있다. 또 주로 식사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급하게 화장실이 가고 싶다거나, 저녁에 변비나 가득 찬 가스로 고통이 심해질 수 있다.
과민성대장증후군은 식습관 스트레스 유전 호르몬 수면부족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하기 때문에 완벽히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이나 약은 아직까지 없다.
아래는 과민성대장증후군을 예방하는 법 8가지.
①음식은 정해진 시간에 먹는다.
②조금씩 자주 먹는다.
그렇지 않으면 복부팽만감이나 설사를 일으킬 수 있다.
③천천히 먹기.
빨리 먹으면 공기까지 들이 마시시면서 복부팽만감을 느낄 수 있다.
④꼭꼭 씹어 먹는다.
입안의 소화 효과가 섞여 들어가 소화가 더 잘된다.
⑤물을 많이 마신다.
물은 섬유소의 활동을 도와 배변을 수월케 한다.
⑥소금, 설탕, 지방 등이 과하게 들어간 음식을 피한다.
특히 튀긴 음식, 유제품 등 고지방음식은 간을 자극해
담즙을 분비하게 한다. 과도하게 나온 담즙은 장에 좋지 않다.
⑦가게에서 쉽게 구할 있는 유산균 음료 섭취를 늘린다.
⑧스트레스 걱정 우울증을 줄이는 것도 장을 편안히 하는 데 도움이 된다.
*KORMEDI*
후담............
얼굴이 웃으면 대장도 웃습니다.
과민성이란, 바로 찡그린 얼굴이라는 말입니다.
낙하산과 얼굴은 반드시 펴져야 합니다.
만일 펴지지 않으면,
사망의 음침한 골짜기가 안식처가 됩니다.
자신을 위하여,
대장과 건강을 위하여
얼굴을 펴고
가슴을 펴고
꿈을 펴고
희망을 폅시다.
웃음은 얼굴도 펴지게 하지만,
대장과 구겨진 삶의 주름살도 펴 줍니다.
근심과 걱정이 많으면
웃음의 다리미로
잘 다려 보십시요.
접혀진 삶의 허리가 잘 펴집니다.
당신의 인격은 지위의 높음에 있지 않고
얼마나 많이 얼굴을 펴느냐?
얼마나 많이 웃고 사느냐입니다.
당신의 권위는,
얼마나 웃고 살며
윗트있고 유머를 많이 쓰느냐에 있습니다.
만병은 찡그린 얼굴과
신경질적인 '자만'에 있습니다.
서로 배려하고 경청하면,
만사가 형통합니다.
재미가 있으면 재수가 있고
재미가 없으면 재물도 달아납니다.
유쾌,
통쾌,
상쾌,
형쾌,
4쾌는 오직,
웃음에서만 창조됩니다.